RAID 에 대해서 알아보기 - 회사에서 서버 구매할 때 당황했던..
2025. 4. 19. 18:13
📚CS(Computer Science) 공부
회사에서 고사양 서버들을 많이 구매 했는데, 해당 서버 구매 후 이 서버가 들어가는 서버룸이 있을 거고(IDC) 거기서 파일 시스템이나 이런 레이드 구조를 사전에 조사 후 내가 지정한 셋팅을 제출 하면 그렇게 셋업해서 보내준다. 이때 , ssd, hdd 별로 레이드 구조를 작성해서 보내달라길래 매우 당황했었음... 먼가...뭔지... 특히 작성해서 보냈음에도 오라클 서버였어서, 파티션 나눈 후 ORACLE DATA 쪽 드라이브를 RAID 5가 아닌 RAID 10으로 잡는 등, 데이터 처리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드라이브를 특정해서 레이드를 구성하기도 했음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의 약자더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묶어서, 성능이나 신뢰성을 높이는 ..

객체지향 설계원칙 SOILD 에 대해서, 각 원칙 별로 서비스를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기
2025. 3. 30. 20:08
📚CS(Computer Science) 공부
SOILD 원칙 결국 유지보수가 쉬운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방향타 같은 것이다. 현업에서도 그래서 실제로 강조되고 효율적이고 개발자 및 유저 친화적 소프트웨어 개발 시 자연스레 지켜지는 원칙이기도 함.뭐...이 원칙의 장점이라 함은.. 기능 추가나 변경이 자주 발생하는 서비스에서는 필수이겠다예를 들어 💡쇼핑몰에 새로운 결제 수단을 추가해야 한다!=> OCP와 DIP 원칙이 적용된 구조면 새 클래스 하나 만들고 등록만 하면 끝인 것! 테스트가 쉬운 구조로 설계하기 위함도 있다.예를 들어 💡 로그인 기능 테스트를 해야한다 치면!=> 인터페이스를 의존분리(DIP)해서 가짜 DB로 쉽게 테스트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음!코드 읽기가 쉬워진다. 즉 협업이 잘된다.예를 들어 신입개발자가 ㅋㅋ 들어와서 코드 본다..

시간 복잡도.. 알긴 아는데 어떻게 계산하는건데?
2023. 5. 6. 20:35
📚CS(Computer Science) 공부/자료구조
시간복잡도.. Big O 신경 써서 코테 문제 풀어야한다며... 뭔지는 알았다. 최적의 알고리즘을 만들어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라는 것그리고 O(1)이 가장 빠르고 O(n!)이 가장 느리단 것도... 전공 수업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이론은 알고있었는데,, 막상 코테 문제를 풀 때 고려해서 풀려니 뭔가 어색하고 코드를 다 짜고나서 빅오를 측정하려니까 당연히 이해를 못하고 암기식으로 알고 있으니까 뭘 몰랐던 것,, 코테를 처음 접하게 될 때 항상 걸리는 부분이 시간 제한, 시간 초과다 (열받음;;) 이런 실수는 나면 안 된다.시간복잡도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여러 책과 영상 찾아보면서 좀 디테일하게 공부해 보았다. 알고리즘 분석에서는 2가지의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즉 알고리..